본문 바로가기
여행 맛집 생활 정보

아직도 세금 내고 ETF 투자 하시나요? (feat. ISA 계좌)

by 공부머리 2024. 4. 9.
반응형

많은 분들이 자산 증식을 위해서 ETF 투자를 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시세 차익이 발생해서 팔더라도 수수료에 세금을 내고 나면 손에 쥐는 금액을 얼마 없는 놀라운 경험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ISA 계좌를 통해서 절세 혜택을 누리면서 ETF 투자하는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ISA 계좌의 의미, 유형, 종류

ISA 계좌란 하나의 계좌로 ETF, 채권, 국내상장주식, 펀드, 리츠, ELS, RP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관리하면서도 절세 혜택도 누릴 수 있는 통합계좌입니다. 다양한 금융 상품을 하나의 계좌로 분산투자 가능하며 시장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상품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단, 유의할 점은 국내상장주식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해외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있으니 비슷한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ISA 유형

유형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
가입 요건 만 19세 이상 또는 직전연도 근로소득이 있는 만 15세~19세 미만 대한민국 거주자 직전연도 총급여 5천만원 또는 종합소득 3천8백만원 이하 거주자 직전연도 종합소득 3천8백만원 이하 농어민 거주자
비과세 한도 200만원 400만원 400만원
비과세 한도 초과 시 9.9% 저율 분리과세 적용
의무 가입 기간 3년
납입 한도 연간 2천만원, 최대 1억원 (당해년도 미불입 납입한도는 다음해로 이월 가능)
중도 인출 총 납입원금 내에서 횟수 제한 없이 중도인출 가능
필요 서류 소득확인증명서 (만 15세~19세 미만자만 해당) 소득확인 증명서 소득확인증명서 및 농어업인확인서

 

ISA 종류

종류 중개형 신탁형 일임형
주요 특징 채권, 주식 투자 가능 예금 선택 가능 전문가가 대신 운용
투자가능 상품 채권, 국내상장주식, 펀드, ETF, 리츠, 상장형수익증권, 파생결합증권, 사채, ETN, RP 리츠, ETF, 상장형수익증권, ETN, 펀드, 파생결합증권, 사채, 예금, RT 펀드, ETF
투자방법 고객이 직접 투자 상품 선택 투자 전문가 일임 운용
보수 및 수수료 투자 상품별 보수 및 수수료 신탁보수 : 연 0.2% (연 1회 수취) 일임수수료 : 연 0.1%/ 연 0.5% (상품 유형별 상이, 분기 수취)
모바일 비대면 계좌 개설 일반형 가능 불가 불가

 

중개형 ISA의 ETF 투자 절세 혜택

똑같은 채권, ETF, 펀드 투자를 하더라도 중개형 ISA에서는 다양한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수익금 최대 400만원까지 완전 비과세 (서민형 기준, 일반형 최대 200만 원)
  • 400만 원 초과분도 9.9% 저율분리과세 (서민형 기준, 일반형 최대 200만 원)
  • 손실금액 반영한 손익통산으로 순소득에 대해서만 과세
  • ISA 계좌를 통해 투자한 목돈을 만기 이후에 연금저축계좌난 IRP로 전환하면, 전환금액의 10% (최대 300만 원) 만큼 세액공제 한도를 늘릴 수 있음 (ISA만기해지일부터 60일 이내 전환 시)

중개형 ISA 절세 효과 비교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 1에서 2,000만 원 수익이 발생하고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 2에서 1,000만 원 손실이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내는 세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분 일반 계좌 중개형 ISA 계좌 (서민형) 중개형 ISA 계좌 (일반형)
손실상계 후 수익 2,000만원 1,000만원 1,000만원
비과세 0 -400만원 -200만원
과세대상 수익 2,000만원 600만원 800만원
세금 308만원
(2,000*15.4%)
59.4만원
(600*9.9%)
79.2만원
(800*9.9%)

 

ISA 계좌의 특징인 손실 상계 후 수익과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니 중개형 ISA 계좌를 이용하면 납부하는 세금이 확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투자를 해도 어떤 계좌를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최종 나의 손에 쥐는 수익이 달라지네요. 어떤 ETF가 유망할지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떤 계좌를 활용해서 투자할 것인지 고민하는 게 선행되어야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