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대중 교통비를 20%~53% 환급받을 수 있는 K-패스가 5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4월 24일부터 각 카드사에서 K-패스 카드 발급이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소비 통제를 위해서 체크카드를 쓰는데 체크카드도 발급 가능하더라고요. 각 카드사마다 혜택이 달라 정리해 보았는데 비교해 보시고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K-패스 체크카드 비교
구분 | 카드명 | 대중 교통 | 간편결제 혜택 (Pay) | 생활서비스 혜택 | 이용 실적 요구 |
신한 | K-패스 신한 체크카드 | 10% 할인 | 2% 할인 | 2% 할인 | 있음 |
하나 | K-패스 하나 체크카드 | 10% 캐쉬백 | 1% 캐시백 | 있음 | |
국민 | K-패스 체크카드 | 10% 적립 | 1% 적립 | 1% 적립 | 있음 |
농협 | K-패스카드 | 10% 캐쉬백 | 5% 캐시백 | 있음 | |
케이뱅크 | MY 체크카드 | 3천원 캐시백 | 건당 500원 캐시백 | 있음 |
- 연회비 : 먼저 체크카드이기 때문에 국내, 해외 모두 연회비는 없습니다.
- 이용 실적 요구 : 다양한 혜택이 있는데 요구하는 이용 실적 충족 시 제공됩니다. 요구하는 이용 실적은 각 카드사마다 다릅니다.
- 대중 교통대중교통 : K-패스가 교통비를 환급을 기본적으로 해줍니다. 그런데 여기서 추가적으로 카드사에서 10% (3,000원 한도) 할인 또는 캐시백을 해줍니다. 케이뱅크는 대중교통 5만 원 이상 이용 시 3,000원을 캐시백 해주는데 다른 카드사도 3,000원 한도에서 10% 할인되니 비슷한 혜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간편 결제 혜택 : 신한 네이버 페이, 카카오 페이 등록해서 사용하면 2% 할인됩니다. 국민 카드는 KB Pay 사용 시 생활 서비스 혜택에서 추가 1% 적립됩니다.
- 생활 서비스 혜택 : 편의점, 카페 등에서 소비하면 할인 또는 캐시백이 제공됩니다. 대상 가맹점은 각 카드사별 다릅니다. 케이뱅크에서 특이한 점은 전원 실적 30만 원 이상 시 건당 500원을 캐시백 해주고, 실적이 없더라도 300원 캐시백을 해준다는 점입니다. 교통 카드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부분이 케이뱅크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혜택 한도 : 몇 %의 형태로 정리가 되어 있지만, 최대 혜택 한도가 있고 전월 실적에 따라 한도도 다르니 카드사 별 상세 확인이 필요합니다.

카드 발급 후 K-패스 회원 가입 필수
카드 신청 후에 꼭 진행해야 할 유의 사항을 말씀드립니다. 카드 발급만 받았다고 대중 교통비를 20%~53% 환급받는 K-패스 본연의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K-패스 회원 가입 및 카드 번호 등록을 해야만 합니다.
- 5월 1일 이전 카드 발급자 : 5월 1일 이전에 신규 카드를 발급하는 경우에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나 앱에서 회원 가입을 하고 로그인 후에 K-패스 회원 전환을 하시면 됩니다.
- 5월 1일 이후 카드 발급자 : K-패스 홈페이지나 앱에서 바로 회원 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카드를 사전에 발급받더라도 회원 가입을 한 이후부터 혜택을 받은 실 수 있으니 꼭 회원 가입 잊지 마세요.
마무리하며
저의 경우에는 기존에 신한 체크카드를 사용하고 있었고, 체크카드로 생활비를 사용하고 있어서 이용 실적에 대한 부담 없이 신한 체크를 신청했습니다. 각자의 상황과 선호가 다르니 꼼꼼히 비교해 보시고 현명한 선택 하시면 좋겠습니다. 카드 발급 후 회원 가입 잊지 마시고요 5월 1일부터 K-패스로 알뜰한 소비 생활 해보아요.
반응형
'여행 맛집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패밀리 박스 사용법, 청소년 자녀 핸드폰 요금 아끼기 (0) | 2024.04.23 |
---|---|
탄소 중립 실천 포인트, 일상 속 친환경 활동으로 7만원 벌기 (1) | 2024.04.20 |
샤오미 공기 청정기 필터 교체 시 모델명은 어떻게 확인할까? (1) | 2024.04.13 |
아직도 세금 내고 ETF 투자 하시나요? (feat. ISA 계좌) (0) | 2024.04.09 |
연금저축계좌 핵심 설명서 (0) | 2024.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