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마케팅이 대세입니다. 우리의 실력과 노하우에 온라인 콘텐츠 마케팅을 더 한다면 더욱 큰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마케팅에서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밈인데 밈 뜻은 무엇이고 마케팅에 던지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밈이란 무엇인가?
밈의 정의는 인터넷 상의 재미난 말, 이미지, 영상 등을 옮기거나 따라 하는 행위를 말하는데 공유, 패러디, 단순 커버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밈이라는 단어보다는 짤이라는 용어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이미지를 캡처하면 짤, 짧은 영상은 움짤입니다.
밈의 종류
이미지밈 : 우리가 소위 '짤'이라고 말하는 캡처 이미지들, 표정이나 자막에 주목 (예 : SBS 야인시대 4달러)
영상밈 : 짧은 영상, 소위 '움짤'이라고 말하는 짧은 영상 파일들(10초~15초), 내용에 주목, 기승전결 없이 포인트를 강조 (MBC 무한도전 무야호)
댓글밈 : 재미있는 댓글을 모아서 퍼트리는 것, 원천 소스의 궁금증을 불러와 원 콘텐츠로 역유입 (예 : 브레이브걸스 롤린)
밈이 콘텐츠 마케팅에 던지는 메시지
콘텐츠 소비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가 생겼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TV 또는 라디오와 같은 고정적 환경에서 콘텐츠 소비가 이루어졌지만 현재는 모바일의 유동적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또한 과거에는 오래 보는 게 가능한 환경이었지만 현재는 짧게 보고 끝내는 상황으로 바뀌었습니다.
따라서 SNS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SNS에서 몇 시간짜리 콘텐츠를 보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짧은 소비 패턴에 맞춰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SNS의 타임라인은 빠르게 흘러가기 때문에 오래 머문다는 과정 자체를 없애야 합니다.
SNS 최적화가 되었을 때 자동 바이럴과 재생산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좋아요와 공유를 통해서 퍼져나갑니다. 대중 입장에서는 재미를 위해 밈을 공유하지만, 마케팅 관점에서는 콘텐츠가 퍼져나가는 것입니다. 또한 원천 콘텐츠에 재유입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콘텐츠 마케팅에서 밈을 통해 깨달아야 하는 것
1. 대중은 콘텐츠로 재미를 원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말하고 싶은 메시지보다는 대중 입장에서 흥미 포인트를 알려야 합니다.
2. 이미 SNS 환경은 기준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분량보다는 짧은 의미에 더 집중해야 합니다.
3. 바이럴은 우리가 해야 하는 작업이 아닙니다. 콘텐츠를 움직여주는 건 결국 대중이라는 사실을 반드시 인지해야 하겠습니다.
마무리하며
밈의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변화된 SNS 환경에 맞게 마케팅 전략을 구사해야 하겠습니다. 또한 내가 좋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중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알고 맞춰야 성과를 거둘 수 있겠습니다.
'글쓰기 및 S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널리틱스로 성과 측정 및 관리하는 방법 (0) | 2022.07.20 |
---|---|
구글 애드센스 핀 번호 및 계좌 등록 방법 (0) | 2022.07.16 |
퍼스널 브랜딩하며 나의 지식과 경험을 파는 재택부업 하는 법 <돈 되는 방구석 1인 창업> (0) | 2022.06.22 |
나는 매일 블로그로 출근한다 by 한혜진 (0) | 2022.05.02 |
나는 네이버카페로 월급대신 월세받는다 by 김소영 (0) | 2022.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