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따라잡기

애플페이 서비스 드디어 출시

공부머리 2023. 3. 20. 16:14
반응형

애플페이의 서비스가 드디어 출시됩니다. 애플페이란 애플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결제 및 디지털 지갑서비스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삼성페이가 거의 독점체제인데요, 애플페이 출시가 확정되면서 간편 결제 시장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폰을 이용하시는 이용자 분들은 굉장히 고대하던 서비스여서 기대감이 큽니다.

 

1. 애플페이 효과 - 현대카드 발급 수 증가

애플페이가 현대카드 독점계약으로 인해  지난해 이후 4분기 말(지난해 말) 기준 현대카드 체크카드 발급 수가 15만 6000장으로 지난해 3분기 말 11만 장보다 41.82% 급증했다고 합니다. 또한 현대카드는 상업자 표시신용카드(PLCC)를 적극적으로 출시하는 등 앞으로도 아이폰 주 사용층인 2030 세대의 카드 상품 수요도 계속 공략할 것”이라고 하네요.

 

2. 이마트, 스타벅스, 신세계 백화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애플페이

애플페이가 모든 매장에서 이용된다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아직은 국내 가맹점에선 애플페이 결제가 가능한 NFC 단말기 보급량이 미미하기 때문이죠. 또한 신세계그룹 계열의 가맹점에서는 애플페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이마트, 스타벅스, 신세계 백화점에서는 애플페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마도 자사의 간편 결제 서비스인 ;쓱 페이'와 ' 스마일페이'의 이용자 유출에 대한 부분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국의 편의점과 주요 백화점, 롯데마트, 홈플러스, 할리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등 카페 곳곳은 애플페이 결제가 가능한 단말기가 설치되어 이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3. 애플페이의 성장? 

애플페이 도입 후 시장 점유율의 변동이 높을 것이라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바로 'MZ' 세대를 중심으로 고객유입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한국 갤럽조사에 따르면 30대에서는 삼성 갤럭시가 51%, 아이폰이 43% 로 비슷한 정도로 이용하지만, 국내 18~29세 스마트폰 이용자의 경우  52%가 아이폰을 이용, 39%가 삼성전자 갤럭시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또한 서치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만 20~69세 아이폰 이용자 4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애플페이를 사용할 의향이 있다'라고 답한 비율은 76.9%로 삼성페이 이용률인 50.3%보다 1.5배 높았다고 하네요. 그러나 애플페이가 자국 내 결제 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애플페이 출시 초기의 성장세가 계속될지 여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

 

4. 삼성페이의 보완

삼성전자는 지난달 20일 네이버페이야 업무협약을 맺고 카카오페이 측 고는 결제연동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의 합의가 성사되면 약점으로 꼽히던 온라인 결제 부분의 역량이 보완하게 됩니다. 앞서 중국도 지난 2016년 한국보다 먼저 애플페이를 도입했으나 큐알(QR) 코드를 이용해 간편한 결제 및 송금까지 가능한 '알리페이', '위챗페이'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했습니다.

 

5. 마무리하며

생각해 보면 어느 순간부터 저도  현금이나 카드 대신 핸드폰으로 결제하는 일이 일상처럼 되어버렸습니다. 은행창구에서 조심스럽게 일일이 계좌번호를 적어가며 다른 누군가에게 금액을 이체하던 시기도 분명 있었는데, 지금은 너무나 쉽게 돈을 이체하고, 식당마다 적용되는 포인트 카드를 지갑 두둑이 넣고 다니며 제때에 포인트 카드를 내는 게 현명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포인트 또한 하나로 통합되는 서비스를 누리고 있네요.

 

확실한 건 소비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나의  시간은 줄어들었지만, 내 시간을 줄여준 대가는 더 많은 소비로 되돌아오고 있더라고요. 시간은 금이라 했는데 아낀 시간대비 왜 내 통장은 텅장이 되어갈까요. 아무튼 애플페이든, 삼성페이든, 다른 온라인 결제 시스템의 편리함에 가려져 나도 모르게 소비하고 있는  불필요한 지출에 대해선 잠시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통장이 텅장이 되기 전에 말이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