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분석 및 업무 자동화

평범한 직장인의 파이썬 독학 기록 - 리스트, 딕셔너리, 함수

by 공부머리 2022. 2. 5.
반응형

평범한 직장인이 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서 파이썬 독학하며 공부한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고 있습니다. 오늘은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함수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리스트

리스트

여러 개의 값들을 모아 함께 저장합니다. 값들은 숫자가 될 수도 있고 문자가 될 수도 있고 리스트가 될 수도 있습니다. 리스트의 형태는 [요소 1, 요소 2,...]입니다. 리스트에서 값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append()라는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append()는 리스트에서만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mylist = []를 통해 빈 리스트를 생성했을 경우 mylist.append(123)을 실행하면 [123]의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mylist.append('abc')를 실행하면 [123, 'abc']의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덱싱

인덱싱을 통해서는 각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123, 'abc', True]라는 리스트는 각 요소에 0, 1, 2의 인덱스가 할당 됩니다. 예를 들어 mylist = [123, 'abc', True]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print(mylist[0])을 실행하면 123이 출력됩니다. print(mylist[1])을 실행하면 'abc'가 출력됩니다. 인덱스를 통해서 리스트의 요소 값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mylist = [123, 'abc', True]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mylist[0] = 3.14를 실행하고 print(mylist)를 실행하면 [3.14, 'abc', True]와 같이 변경된 요소 값의 리스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del

del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리스트의 값을 지울 수 있습니다. mylist = [123, 'abc', True]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del mylist[0]을 실행하면 첫 번째 요소 값인 123이 리스트에서 삭제됩니다.


슬라이싱

대괄호와 콜론을 통해서 대괄호의 요소들을 잘라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ylist = ['a', 'b', 'c']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print(mylist[0:2])을 실행하면 ['a', 'b']의 값이 출력됩니다.


sort()

리스트에 사용되는 메서드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sort()는 리스트 안의 요소 값들을 정렬할 때 쓰이는 메서드입니다. mylist = [3, 4, 2, 1]이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mylist.sort()를 실행 후 print(mylist)를 실행하면 [1, 2, 3, 4]의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count()

count()는 요소의 갯수를 세는 메서드입니다. mylist = ['a', 'b', 'c', 'a', 'b']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print(mylist.count('a'))를 실행하면 2의 결괏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리스트에 몇 개 안 되는 요소가 있을 때는 눈으로 세는 것이 쉽지만 요소 값이 많을 때는 count()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정확하고 빠릅니다.


in

리스트 안에 어떤 값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 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mylist = ['a', 'b', 'c', 'd']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 print('a' in mylist)를 실행하면 리스트 안에 'a'가 있기 때문에 True를 반환합니다. 다른 예로 print('f' not in mylist)를 실행하면 mylist안에 'f'가 없기 때문에 True를 반환합니다.


튜플

튜플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한데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튜플의 형태는 (요소 1, 요소 2,...)입니다. my_typle1= (), my_tuple2 = (1,), my_tuple3 = ('a', 'b', 'c')와 같이 튜플을 만들 수 있습니다. my_tuple3 = 'a', 'b', 'c'와 같이 괄호가 없어도 튜플이 만들어집니다. 여기서 숫자가 요소가 한 개일 때는 숫자 뒤에 콤마가 오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콤마가 오면 튜플이 되고 콤마 없이 괄호 안에 숫자만 오면 int형입니다. 튜플을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값이 변경될 일 이 없을 때 실수로 값이 변경되는 것을 막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코드의 신뢰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튜플이 리스트보다 실행할 때 속도가 빠릅니다.


패킹/언패킹

패킹은 여러개의 값을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합니다. 묶여 있는 값을 풀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my_tuple = 3.14, 'abc', False와 같이 여러 개의 요소들을 묶는 것을 패킹이라고 하고 i, s, b = (123, 'abc', True)와 같이 여러 개의 요소로 풀어내는 것을 언패킹이라고 합니다. 이때 123은 i 변수에 대입이 되고, 'abc'는 s 변수에 대입이 되고, True는 b 변수에 대입이 됩니다.


딕셔너리

딕셔너리

관련된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놓은 것입니다. 키와 값을 쌍으로 저장합니다. {키1:값1, 키 2:값 2,...}의 형태로 쓰입니다. 키는 숫자형 또는 문자형만 가능하고 값은 어떤 형태든 가능합니다.

 

딕셔너리의 값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중괄호는 빈 딕셔너리를 만드는 것이고 [] 대괄호 안에는 키값이 들어가고 = 뒤에는 값이 쌍을 이루어 저장이 됩니다. 아래 예제 코드를 실행하면 {1:'a', 'b':2, 'c':'d'}가 출력됩니다.
my_dict = {}
my_dict[1] = 'a'
my_dict['b'] = 2
my_dict['c'] = 'd'

 

값을 출력을 할 때는 다음 예제와 같이 [] 안에 키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리스트에서 인덱스를 통해서 요소 값을 가져왔듯이 딕셔너리에서는 키를 가지고 값을 가져옵니다. 아래 예제를 실행하면 'a'를 출력합니다.
my_dict = {1:'a', 'b':2, 'c':'d'}
print(my_dict[1])

 

del

값을 지울 때는 del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아래 예제를 실행하면 1이라는 키와 'a'의 값이 쌍으로 삭제됩니다.
my_dict = {1:'a', 'b':2, 'c':'d'}
del my_dict[1]

 

values()

values()라는 메소드는 딕셔너리에서 값들만 뽑아옵니다. 아래 예제를 실행하면 v1, v2만 출력됩니다.
my_dict = {'k1' : 'v1', 'k2' : 'v2'}
for val in my_dict.values():
print(val)

 

keys()

keys()라는 메소드는 딕셔너리에서 키들만 뽑아옵니다. 아래 예제를 실행하면 k1, k2만 출력됩니다.
my_dict = {'k1' : 'v1', 'k2' : 'v2'}
for key in my_dict.keys():
print(key)

 

items()

items()라는 메소드는 딕셔너리에서 키와 value 둘 다 뽑아옵니다. 아래 예제를 실행하면 k1 v1, k2 v2 출력됩니다.
my_dict = {'k1' : 'v1', 'k2' : 'v2'}
for key, val in my_dict.items():
print(key, val)


함수

함수

함수란 반복되는 코드를 묶어서 이름을 붙인 것을 의미합니다. 파이썬에서의 함수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내장 함수, 모듈의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가 있습니다. 내장 함수는 print, input, type과 같이 파이썬에 이미 내장된 함수입니다. 모듈 함수는 모듈에서 정의된 함수로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는 우리가 함수를 직접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코드를 관리하기 쉽습니다. 세 번째는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함수는 아래와 같은 구문으로 사용됩니다. def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다음으로 함수이름을 지정해줍니다. 인자는 입력값입니다. 명령을 실행하고 결과를 반환할 때는 retur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함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함수명과 인자를 함께 써주면 사용 가능합니다. 
def 함수이름(인자1, ...):
    실행할 명령1
    실행할 명령2
    return 결과

 

아래  예제는 두개의 인자 값을 받아 합을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이렇게 함수를 만들어주고 my_sum(1, 2)를 실행하면 3의 결괏값을 얻습니다.
def my_sum(n1, n2):
    return n1 + n2


모듈

비슷한 함수를 모아둔 파일입니다. import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모듈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마침표와 함수를 사용해서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평범한 직장인의 파이썬 독학하기.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함수편 정리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