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IS 국가통계포털에 기대여명이라고 검색을 하니 2022년 기준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나옵니다. 여자는 85.6년 남자는 79.9년으로 나옵니다. 반면에 KB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KB골든라이프보고서'에 따르면 노후 가구들은 의식주 해결에 필요한 최소 생활비를 월 251만 원, 여가 및 손자녀 용돈 등 적정생활비는 월 369만 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나는 얼마나 노후 준비가 되어 있을까라는 고민이 됩니다. 고민은 되지만 구체적으로 손에 잡히는 내용이 없네요. 그래서 객관적으로 나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 따져보려고 합니다. 노후준비라 생각하면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배당금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 가지씩 살펴보려고 하는데 오늘은 가장 기본이 되는 국민연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부터 알아보려고 합니다. 예전에는 가끔 우편으로 안내를 받은 거 같은데 요즘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궁금했는데 지금은 핸드폰으로 너무나 쉽게 확인 가능하네요. 핸드폰으로 국민연금 예상 수령 금액 조회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 금액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 법
- 먼저 스마트폰 스토어에서 국민연금이라고 검색합니다. 검색하면 내 곁에 국민연금이라는 이름의 어플이 확인되는데 설치해 줍니다.
- 어플 설치가 완료되면 앱을 실행합니다.
-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은 카카오 또는 네이버 인증으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을 하면 중앙 화면에 가입내역과 예상 노후연금 부분이 확인 됩니다. 우측에 있는 예상 노령연금을 클릭합니다.
- 수령 시작 년월, 세전 세후 예상 연금 수령액이 확인 됩니다.

조회를 하고 보니 적정 노후 생활비 대비 절반도 안 되는 수준입니다. 그것도 만 60세까지 지속적인 납부를 해야 가능한 금액입니다. 금액이 부족해서 약간은 실망스럽지만 그래도 현재 나의 상황을 진단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국민 연금만으로는 부족하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의 준비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너무 조급해하지 말고 하나씩 살펴보고 준비해야 하겠습니다.
댓글